치과 캐드캠 스캐닝의 분류와 개념

반응형

-스캐닝의 분류-



모델이나 구강 내의 형상을 측정하여 디자인 데이터나 밀링을 하기 위한 3차원 형상

데이터로 제작한 것을 뜻하며, 접촉식과 비접촉식 스캐너로 2가지 분류 합니다.





-접촉식 스캐너-



디자인 데이터의 정보를 얻기 위해 측정 모델을 "터치프로브"로

직접적으로 접촉을 함으로써, 모델의 전체적인 형상의 정보를 

얻어 일반적으로 CMM(Coordinate, measuring machine)이

가장 많이 사용 되고 있습니다. 


장점은 정확성이 아주 좋으며 검사를 하는데에 

주로 사용이 됩니다.

단점은 측정하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는 겁니다.

또, 탄력성이 있는 물체는 변형이 와서 측정이 어렵습니다.

기공소에서 접촉식 스캐너를 사용 하는 곳은 본적이 없어

잘 쓰이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비접촉식 스캐너-



스캐닝을 할 모델을 접촉을 하지 않고 모델의 형상을 측정을

하는 스캐너입니다. 레이저 초음파, 광학 시스템, 카메라 등의

방법으로 빛을 이용해 모델에 투영하여 반사되는 빛을

카메라나 센서에 전달을 함으로써, 디자인 데이터를 얻는

방법입니다.






장점으로는 접촉식에 비해 측정 속도가 빠르고 탄력성이 있는

물체를 측정이 가능 합니다.

단점으로는 접촉식에 비해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점입니다.

예를들어 자연치의 경우 지대치의 인접치아나 언더컷

좁은 틈 등 스캐닝을 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기공소 특정상 비접촉식 스캐너를 사용을 합니다.






-구강 스캐너-



구강 스캐너는 인상재를 이용한 인상을 채득 한것 보다 

빠르고 환자한테 불쾌감을 주지 않으며 오차범위가 적은

장점이 있습니다. 인상체는 아무리 경험이 있는 치과의사라고

할지라도 환자의 협조, 수축, 기포, 경화 시간, 타약, 혈관 등

또, 알수 없는 오류들이 있어 오차범위가 심할 수 밖에 없습니다.

구강 스캐너는 짧은 시간에 채득을 할수 있고 치과에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구강 스캐너를 잘 다루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아쉬울 따름입니다. 예를 들어 지대치만 집중적으로

스캔을 해서 인접치는 신경을 쓰지 않는 다거나

또, 스캔하는 시간을 너무 오래 찍을 경우 작업하는데

지장이 있습니다.

가장 문제점은 바이트 스캔을 스캐닝을 어떻게 했냐가

중요합니다. 기술이 부족한 술자는 바이트를 제대로

물렸는지 확인도 안하고 스캐닝을 하거나

또는 바이트 스캔을 지대치 주위에만 스캐닝을 했을

경우 입니다. 인접치가 제대로 바이트가 물려

있는지 확인을 할수가 없어 임의로 작업 할수 밖에 없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